폐렴 예방접종 & 폐렴 초기 증상: 감기 기침과의 차이점 및 폐렴구균백신 종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균이 폐에 감염을 일으켜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2주 이상 기침이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폐렴을 의심하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오늘은 폐렴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폐렴 예방접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감기와 폐렴의 차이점
- 감기: 주로 코, 인두, 후두 등 상부 호흡기계에 발생하는 감염
- 폐렴: 세기관지 이하의 폐 조직에서 감염이 발생하는 하부호흡기감염증
- 주요 증상: 호흡곤란, 허약감, 발열, 기침, 피로감 등
- 세균 감염으로 인한 폐 염증이 심해지면 본격적인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음
폐렴 초기 증상
폐렴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및 흉부 통증
- 피가 섞인 가래
- 구토, 설사, 두통, 피로감, 관절통 등의 전신 증상
폐렴과 감기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흉부 X-레이, 혈액 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폐렴과 감기 기침의 차이점
- 폐렴은 감기와 다르게 저절로 호전되지 않음
- 심한 호흡기 증상이 동반됨
-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남
- 가래가 끈적하고 고름 같은 녹색 또는 노란색을 띔
- 3일 이상 열이 지속되고 약물로도 조절되지 않음
폐렴 예방접종
폐렴은 예방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균인 폐렴구균 감염을 막는 폐렴구균백신은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과 5세 미만 소아는 무료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
1.폐렴구균백신 종류
폐렴구균백신은 포함된 혈청형의 가짓수에 따라 구분되며, 현재 접종 가능한 백신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가 백신: 10가지 혈청형 예방
- 13가 백신: 13가지 혈청형 예방
- 15~23가 백신: 15~23가지 혈청형 예방
2.폐렴구균백신의 유형
1.다당질백신(23가 백신)
- 폐렴구균 세포벽의 다당질을 항원으로 사용한 백신
- 65세 이상 노인 무료 접종 가능
-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
2.단백접합백신(10가, 13가, 15가 백신)
- 단백질 운반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을 강화한 백신
- 2세 미만 소아의 면역 반응이 확인됨
- 생후 2개월~5세 미만 소아 기초접종 3회 + 추가접종 1회 무료 제공
3.폐렴 예방접종 시기 및 횟수
1.접종 권장 대상
- 2세 이하 영유아 및 65세 이상 노인
- 면역억제 상태, 만성 심부전, 만성 신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자
- 암이나 기타 면역기능 저하 상태인 사람
2.접종 주기
- 65세 이전에 다당백신을 접종한 경우, 5년 후 재접종 권장
- 면역 기능이 많이 저하된 경우, 3~5년마다 재접종 권장
3.접종 시기
- 특별한 계절적 제한은 없으나, 겨울철 이전에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함
폐렴 예방의 중요성
폐렴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3위에 해당할 만큼 치명적인 질환으로, 예방과 조기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라도 폐렴이 의심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폐렴 예방접종을 통해 고위험군의 발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